SMALL

어느날 값자기 

CentOS 에서 백스페이이스를 누를때 마다 ^? 가 입력됨 

[root@test ~]#^?^?^?^?^?

임시적,일시적 조치방법

 stty erase ^? 입력 시 해결

[root@test ~]#stty erase ^?

영구적인 방법1 

 /etc/profile 에 stty erase ^? 를 등록  (모든 사용자에게 환경설정 값을 적용하는 /etc/profile)

[root@test ~]# ls -al /etc/profile

[root@test ~]# echo "stty erase ^?" >> /etc/profile 

설정 후 재부팅

영구적인 방법2 

 $HOME/.profile 에 stty erase ^? 를 등록  (특정 사용자에게 환경설정 값을 적용하는 $HOME/.profile)

[root@test ~]# echo "stty erase ^?" >>  $HOME/.profile
[root@test ~]# source.bash_profile

.bash_profile 이나 .bashrc 같은 파일의 설정을 변경했을 경우 재접속하거나 리부팅 할 필요없이 source 명령어를 사용해서 바로 설정을 적용시킬 수 있음

 

stty (터미널 환경 설정)

문법) stty [설정 명령] [설정할 키도브 key]

설명) 터미널 라인 설정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예제)stty erase ^?

 

옵션) 설정 명령

설정 명령 default 설정키 의미
 erase  ^?  입력된 한 문자 삭제 ( ^?는 DELETE key / ^H를 주로 설정 backspace key )
 kill  ^u  입력된 행을 모두 삭제
 intr  ^c  진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
 quit  ^\  core dump와 함께 현재의 프로세스 중단
 eof  ^d  파일의 끝을 알림 (입력 종료)
 eol  ^d  행의 끝
 eol2  ^d  한 행을 마치기위한 별도의 문자
 swtch (np)  ^d  다른 쉘 계층으로 스위칭
 start  ^q  화면으로의 출력을 시작
 stop  ^s  화면으로의 출력을 중지
 susp  ^z  현재의 프로세스를 suspend (일시 중지)
 dsusp (np)  ^y  입력을 flush 한 후 프로세스를 suspend
 rprnt (np)  ^r  화면을 다시 갱신
 flush  ^o  stty 입력 및 출력을 즉시 버림
 werase (np)  ^w  입력한 한 단어를 삭제
 inext (np)  ^v  특수문자라 할지라도 다음 문자는 글자 그대로 입력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클릭을 부탁드립니다 :)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LIST
SMALL

디렉터리, 파일 용량 확인 du (Disk Usage)

*문법

  • du [-option] [directory_name]

*예문

  • du -sh /home /*home 디렉토리의 전체 사용량을 출력 */
  • du -h /home /*home 하위의 모든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출력*/

*옵션

-a, --all의 약자

-k,  사용량을 킬로바이트 단위로 환산하여 출력한다. (1KB)

-m, 사용량을 메가바이트 단위로 환산하여 출력한다. (1MB)

-h,  사용량을 사람이 읽기 편한 단위로 출력해준다. (1KB, 234MB, 3GB)

-s, --summarized의 약자 : 간단하게 총(전체) 사용량만 표시 한다.

-ㅣ, --count-links의 약자 : 하드 링크의 용량을 모두 계산.

 

*설명 

directory_name 인수를 사용하지 않으면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한다.

 

*예시

[root@localhost disk1]# du -sh /disk1
2.8T    /disk1
[root@localhost disk1]# du -h /disk1
19G     /disk1/1000/1000022
26G     /disk1/1000/1000114
19G     /disk1/1000/1000063
18G     /disk1/1000/1000078
70G     /disk1/1000/1000006
11G     /disk1/1000/1000036
37G     /disk1/1000/1000113
3.2G    /disk1/1000/1000103
216M    /disk1/1000/1000129
2.8G    /disk1/1000/1000029
3.0G    /disk1/1000/1000105
27G     /disk1/1000/1000068
12G     /disk1/1000/1000018
43G     /disk1/1000/1000160

 

*파일 백업을 위하여 rsync를 설정 후 파일이 잘 올라왔는지 총량으로 확인 할때 사용했습니다.

*리눅스 cp 명령으로 cp 후에 데이터 용량 비교를 통하여 누락 없이 잘 cp 되었는지 확인할때 유용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클릭을 부탁드립니다 :)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