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솔라리스 11 버전 에서 ntp 설정을 하여 시간 동기화를 진행 하려고 한다.
먼저 솔라리스 버전을 확인
[root ~]# uname -a
SunOS dbms1 5.11 11.3 i86pc i386 i86pc
ntp 설정이 안되어 있는것을 확인
ps -ef |grep ntp
root 16369 16364 0 15:11:56 pts/2 0:00 grep ntp
cd /etc/inet를 확인하여 보면 ntp.conf 파일이 없을 것을 알수있다.
[root ~]# cd /etc/inet
[root ~]# ls
datemsk.ndpd ipaddrsel.conf networks services
dhcpd.conf.example ipnodes ntp.client slp.conf.example
hosts ipsecalgs ntp.server static_routes-DefaultFixed
ike ipsecinit.sample protocols wanboot.conf.sample
inetd.conf netmasks secret
그렇기 때문에
ntp.client 파일을 카피 하여 ntp.conf 파일을 생성 한다.
-bash-4.1# cp ntp.client ntp.conf
-bash-4.1# ls
datemsk.ndpd ipaddrsel.conf networks secret
dhcpd.conf.example ipnodes ntp.client services
hosts ipsecalgs ntp.conf slp.conf.example
ike ipsecinit.sample ntp.server static_routes-DefaultFixed
inetd.conf netmasks protocols wanboot.conf.sample
ntp.conf 파일 끝에 추가 하여
server [NTP 서버 IP] 를 입력( 저는 내부 ntp 서버 10.10.10.10 을 입력)
참고!!
국내 NTP 제공 사이트
zero.bora.net
ntp.ewha.net
ntp1.epidc.co.kr
ntp2.epidc.co.kr
kr.pool.ntp.org
kr.pool.ntp.org
# To configure leap seconds processing, download the latest NIST leap seconds
# file to /etc/inet, and then create a symbolic link to it from the ntp.leap
# file. Without this file, NTP will still be able to accept leap announcements
# from its upstream sources. If this file exists and is less than 6 months old
# then the contents of this file will take precedence over the upstream servers.
# The latest leap seconds file is always available at ftp://time.nist.gov/pub
#leapfile /etc/inet/ntp.leap
server 10.10.10.10
데몬 재시작
#svcadm restart svc:/network/ntp:default
데몬 중지
#svcadm disable -st svc:/network/ntp:default
데몬 사용
#svcadm enable -st svc:/network/ntp:default
ntp 서비스 실행중인것 확인
-bash-4.1# ps -ef | grep ntp
root 16915 1 0 15:40:46 ? 0:00 /usr/lib/inet/ntpd -p /var/run/ntp.pid -g
root 16918 16501 0 15:33:44 pts/2 0:00 grep ntp
ntpq -p 명령으로 실제 연동상태 확인
-bash-4.1# ntpq -p
remote refid st t when poll reach delay offset jitter
==============================================================================
*dns.hello.re.kr 203.248.240.140 3 u 19 64 1 0.227 -5.248 0.001
LIST
'도치의 IT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웹서버 인증서 확인 방법 (0) | 2019.05.28 |
---|---|
netstat 명령어 (리눅스) (0) | 2019.05.13 |
CentOS 에서 백스페이스 입력하면 ^? 가 입력되는 경우 해결 방법 (0) | 2019.05.07 |
디렉터리, 파일 용량 확인 (du) (0) | 2019.04.29 |
리눅스 종류와 그 버전을 알아 볼 수 있는 방법 (0) | 2019.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