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우리나라가 국산 미사일 '백곰'의 시험발사에 성공한 것은 1978년 9월 26일이었다. 당시는 주한미군 감축으로 북한의 위협이 고조되고 있었다. 남북한 간 충돌을 우려한 미국은 미사일 개발에 제동을 걸었다. 한국은 미국의 기술 이전을 조건으로 '사거리 180km, 탄도중량 500kg 제한'에 합의했다.

이 지침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네 차례 개정됐다. 북한은 1970년대 미사일 개발에 착수해 1980년대에 '스커드-B'(사거리 300km)와 '스커드-C'(500km)를 실전 배치했다. 1990년대에는 사거리 1300km의 '노동'과 첫 장거리(2500km) 미사일 '대포동 1호'를 개발했다. 2016년부터는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까지 발사했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백곰'의 후신인 '현무(玄武)' 시리즈를 통해 탄도중량과 사거리를 조금씩 늘려 오다가 최근 한·미 정상회담에서 관련 제한을 모두 푸는 데 합의했다. 이로써 한국의 미사일 사정권은 북한 전역뿐 아니라 중국 베이징과 일본 도쿄까지 넓어졌다. 중국이 한국을 겨냥한 수백 기의 미사일을 배치한 상황에서 우리도 대응 역량을 갖추게 된 것이다.

중국은 '둥펑(東風)' 등 중거리 미사일만 약 3000기 보유하고 있다. 태평양을 향한 1만8000km 해안에 지대공과 크루즈 미사일 발사대를 촘촘하게 배치했다. 군비 지출 규모도 미국에 이은 2위로, 동북아 지역의 안보 위협을 가중시키고 있다. 미국이 한국 미사일 제한을 풀면서 중국의 세력 확산을 막는 전략을 함께 구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주변국이 반발할 수도 있지만, 한국이 국제 규범을 잘 지켜온 나라이기에 주변국과의 마찰 가능성은 크지 않다. 내심 못마땅한 중국도 사드 배치 때처럼 노골적으로 반응하진 않고 있다. 자주국방이야말로 그들이 늘 주장하는 '내정 문제'이기도 하다.

이번 미사일 제한 해제로 한국은 중장거리 미사일과 함께 고체연료, 우주로켓 개발까지 가능해졌다. 한·미 정상은 민간 우주탐사와 과학, 항공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이제 한국과 북한, 중국을 둘러싼 '미사일 삼국지'는 글로벌 패권 경쟁이라는 큰 그림 속에 드넓은 우주로까지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할 신기술과 외교력 경쟁도 그만큼 더 치열하게 됐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1052626901

ㅡㅡㅡㅡㅡ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사일 발사 거리를 늘릴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에 따라 미사일 테마주가 관심받고 있네요 

 

LIST

'도치의 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씨가 왜이래  (0) 2021.06.01
뉴타운의 귀환  (0) 2021.05.28
정치판 '3040세대' 돌풍  (0) 2021.05.26
필사 5.21) 행복지수와 삶의 질  (0) 2021.05.25
필사 5.24) 벌과 인류의 운명  (0) 2021.05.25
SMALL

 

정치판 '3040세대' 돌풍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그리스에서 이집트, 인도 북부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바빌론에서 병으로 사망했을 때 나이가 33세였다. 지중해 변방 코르시카섬 출신 나폴레옹이 스스로 황제의 관을 쓰고 프랑스 제정(帝政)시대를 연 것이 34세였고, 일본 '메이지 유신의 영웅' 사카모토 료마가 자객 칼에 맞아 사망한 게 31세였다.

역사적으로 30~40대에 영웅적 발자취를 남긴 위인이 많다. 경험과 연륜이 아니라 패기,용기와 지혜로 시대 흐름을 바꿔놓은 '젊은 피'들이다. 그런 족적을 따르겠다는 30~40대 글로벌 정치 리더도 많다. 버락 오바마가 2009년 세계 최강국 미국의 대통령으로 취임한 게 48세였다. 이듬해 영국에선 데이비드 캐머런 보수당 대표가 43세에 다우닝가 10번지 총리관저 주인이 됐다. 이후에도 쥐스탱트뤼도 캐나다 총리(43세 취임),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39세), 저신다아던 뉴질랜드 총리(37세) 등 3040세대 젊은 리더가 연이어 등장했다.

21세기 들어 젊은 리더십이 각광받는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급변하는 정치·경제·사회 환경에선 과거처럼 연륜이나 경험보다 감각과 속도감이 더 긴요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한다. 그렇다면 '장유유서'를 따지는 한국에서도 3040세대 정치 리더가 나올 수 있을까.

최근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1위로 '신드롬'에 가까운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36세인 그는 다른 7명의 후보가 모두 50대 이상인 것과 대비된다. 그의 부상은 운동권 586(5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가 주축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러다 우리가 '꼰대당'이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온다. 여당에서도 조심스럽게 세대교체론이 고개를 드는 배경이다.

한국 정치사에서 처음 세대교체론이 제기된 건 1970년이다. 1969년 3선 개헌안 통과를 막지 못한 야당에서 인적쇄신론이 봇물처럼 터져나왔다. 김영삼(당시 43세)·김대중(46)·이철승(48)이 '40대 기수론'을 외쳤다. 당시엔 '구상유취(口尙乳臭)'라는 비난을 감수해야 했다.

이 전 최고위원은 대구에서도 여론 조사 1위다. '올드 정치'에 신물난 국민이 젊은 리더십을 원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실제 결과도 그럴지는 두고봐야 할 것이다. 이래저래 국민의 힘 전당대회(6월 11일)가 국민의 이목을 끌게 생겼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1052584171

 

 

LIST

'도치의 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타운의 귀환  (0) 2021.05.28
동북아 '미사일 삼국지'  (0) 2021.05.27
필사 5.21) 행복지수와 삶의 질  (0) 2021.05.25
필사 5.24) 벌과 인류의 운명  (0) 2021.05.25
필사 5.25) BBC의 굴욕  (0) 2021.05.25
SMALL

'국민 행복'은 특정 정치세력의 캐치프레이즈가 아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유력 대선후보였던 2016년 작은 불교국가 부탄에 들러 이 나라 '행복 정책'에 깊이 감명받았고, '정부가 국민을 행복하게 해주지 못하면 정부의 존재 가치가 없다'는 부탄 법전의 문구를 소셜미디어에 인용해 화제가 됐다. 전임 박근혜 정부도 '국민 행복'을 국정목표로 내세우고, 국민행복지수까지 만들려고 했었다. 그런데도 문 정부가 '국민 행복'을 더 강조한 듯한 인상을 주는 것은 정부가 모든 걸 책임져주겠다는 식으로 장담했기 떄문일 것이다.

여하튼 국민에게 그런 심상(心象)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요즘 발표되는 국가별 행복도와 삶의 질 순위는 적지 않은 실망감을 준다. 유엔자문기구 지속 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가 국내총생산, 근로시간, 미세먼지 농도, 기대수명, 노인빈곤율 등으로 평가한 국가행복지수(2018~2020년)에서 한국이 5.85점(10점 만점)을 받아 OECD 37개국 회원국 중 35위에 그쳤다. 밑에는 그리스와 터키뿐이다. 앞서 글로벌 국가·도시 비교사이트인 넘베오가 발표한 '삶의 질' 지수에서 한국이 평가대상 83개국 중 42위였다.

행복은 주관적이고 상대적이기 마련이다. 아무리 부자여도 더 큰 부자를 보면 불행하다고 여기는 게 사람이다. 그런 국민의 행복을 국가 차원에서 순식간에 끌어올릴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잘살고 못사는 경제적 요소만이 다가 아니기 때문이다. 현대인의 생활 수준이 프랑스 루이14세 때 베르사유궁전에 거주하는 왕족들보다 낫다지만, 그게 행복을 보장하는 건 아니다. 빈곤 문제도 마찬가지다. 잘사는 나라여도 "나는 가난하단"는 사람이 10%를 넘는다. 이런 상대적 빈곤은 수위가 변해도 항상 물속에 잠기는 배의 '흘수'와도 같다.

그런 점에서 '국민 모두의 행복'은 정치인들의 수사(修辭)일 뿐이다. 이를 선거구호로 내걸어 현혹하고, 이에 혹해 믿는 국민이 있다면 시간낭비일 뿐이다. 그럴 시간에 차라리 미세먼지나 교통체증 해결에 집중하는 게 낫다.

개개인의 행복은 자신과 가족의 건강, 폭넓은 인간관계, 삶의 속도 늦추기, 이타적 행동, 운동·취미생활에 더 크게 좌우된다. 행복의 40%는 심리적으로 관리 가능하다는 학자들 주장도 있다. 도스토옙스키도 "인간이 불행한 것은 자기가 현재 행복하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라고 했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1052027571


인간이 불행한 것은 자기가 현재 행복하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도스토옙스키

>자꾸 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약한 부분을 계속 신경쓰다보면 적당한 신경은 자극을 받아 더 열심히 하는 효과가 있겠지만, 이게 정도가 지나치면 본인의 삶이 망가지게 된다.

내가 가지고 있는 행복, 가족, 건강, 환경, 관계 등에 대해서 감사하며,

행복한 하루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해야겠다.

LIST

'도치의 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타운의 귀환  (0) 2021.05.28
동북아 '미사일 삼국지'  (0) 2021.05.27
정치판 '3040세대' 돌풍  (0) 2021.05.26
필사 5.24) 벌과 인류의 운명  (0) 2021.05.25
필사 5.25) BBC의 굴욕  (0) 2021.05.25
SMALL

날아다니는 벌 하면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은 무엇일까. 아마도 많은 이가 쏘일지 모른다는 두려움, 혹은 달콤한 꿀부터 떠올릴 것이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이 '벌=꿀벌'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벌 중에는 쏘지 않는 벌도 꽤 있다. 잎벌, 고치벌, 맵시벌과 같은 종은 침이 없다. 벌침은 암컷의 산란관이 변한 것이다. 따라서 수벌은 종류과 무관하게 모두 쏘지 못한다. 다른 벌이나 곤충을 잡아먹는 말벌처럼 꿀을 모으지 않는 벌도 있다.

전 세계에는 10만 종이 넘는 벌이 있으며, 우리에게 친숙한 꿀벌 종류만도 5700가지나 된다. 기원전 7000년께 스페인 동굴벽화가 그려진 것을 보면 양봉의 역사는 근 1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국내에는 인도 중국을 거쳐 1세기 초 고구려에 양봉술이 전해졌다고 한다. 사람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꿀을 귀한 식품이자 약으로 써왔지만 정작 벌에 대해서는 양봉 관리 차원 이상의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런데 2000년대 초반 양봉업자들은 꿀벌 수가 급감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2008~2013년 미국 전역에서 야생 꿀벌의 4분의 1 정도가 사라졌다는 논문도 있다. 지구의 극이동부터 공해, 살충제, 바이러스, 기생파리, 전자파, 와이파이 등 여러 원인이 지목됐지만 아직도 정확한 이유는 모른다.

문제는 벌이 사라지면 꽃가루를 옮기는 수분에 막대한 지장이 생긴다는 점이다. 유엔환경계획(UNEP)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작물의 70%가량이 벌에 의존한다고 한다. 아이슈타인의 발언으로 알려진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4년 내 멸망한다"는 경고가 새삼 피부로 와닿는다.

지난 20일은 생태계에서 벌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유엔이 정한 '세계 벌의 날'이었다. 할리우드 배우 앤젤리나 졸리는 이날 몸에 페로몬을 바르고 벌을 유인해 18분간 벌에 뒤덮이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하찮은 존재로 여겼던 벌의 소중함을 환기하기 위한 행사였다.

정말 벌이 멸종하면 인간이, 혹은 지구 전체 생명이 위험할까. 전문가들에 따르면 꽃가루받이의 30~40%가량은 나비, 파리와 같은 다른 곤충, 그리고 새와 박쥐 등이 담당한다고 한다. 분명히 생태계에 적잖은 충격이 있겠지만 '인류 멸망'은 다소 과장됐다는 얘기다. 다만 그런 날이 오면 진짜 '꿀맛'은 다시는 맛 볼수 없게 될 것이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1052300221

 

[천자 칼럼] 벌과 인류의 운명

[천자 칼럼] 벌과 인류의 운명, 김선태 기자, 오피니언

www.hankyung.com


존재 가치가 없는 생명체는 아무도 없다.

LIST

'도치의 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타운의 귀환  (0) 2021.05.28
동북아 '미사일 삼국지'  (0) 2021.05.27
정치판 '3040세대' 돌풍  (0) 2021.05.26
필사 5.21) 행복지수와 삶의 질  (0) 2021.05.25
필사 5.25) BBC의 굴욕  (0) 2021.05.25
SMALL

세계 최초의 공영방송인 영국 BBC는 해마다 불우아동돕기 자선 방송을 내보낸다. 시청자가 전화로 참여하는 생방송 프로그램이다. 그런데 전화가 걸려오지 않거나 퀴즈 당첨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제작진을 출연시켜 시청자인 양 속인 사실이 2007년 발각됐다.

그 직전에는 엘리자베스 여왕 다큐멘터리 조작 사건이 불거졌다. 여왕이 "왕관을 벗어달라"는 사진작가의 요구에 기분이 상해 일정을 취소하고 자리를 떠버린 것으로 묘사된 예고편을 보고 왕실이 문제를 제기하자 BBC는 편집 잘못을 뒤늦게 인정했다. 당시 BBC 시장 마크톰슨은 "시청자를 속일 것인지, 프로그램을 포기할 것인지 선택하라면 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며 공식 사과했다.

1972년 출범한 BBC는 오랫동안 신뢰성과 공정성을 앞세워 시청자의 사랑을 받았다. 2차 세계대전 발발을 가장 먼저 알리고, 자국 이익과 상충하는 현안도 객관적으로 전했다. 1982년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의 포클랜드전쟁 때 자국 군대를 '국군'이 아니라 '영국군'으로 불렀을 정도다. 이런 전통은 인터뷰와 다큐멘터리 분야로 이어졌다.

그러나 또 다른 오점이 최근 드러났다. 26년 전 젊은 기자가 다이애나 왕세자빈을 인터뷰하기 위해 위조한 은행 거래 내역을 들이밀고 거짓말까지 한 사실이 밝혀졌다. 이에 영국 정부가 가구당 연간 159파운드(약 25만원)인 수신료를 동결하거나 삭감하는 등의 강력한 쇄신을 요구하고 나섰다. 하원은 청문회까지 준비하고 있다.

정치 편향성 논란도 거론되고 있다. 보리스 존슨 총리가 이끄는 보수당 정부는 "2015년 총선 당시 BBC의 친(親)노동당 행보가 도를 넘었으며, 2019년 선거 땐 존슨이 출연 자체를 거부할 정도로 편향성이 심했다"고 지적했다. 2012년에는 보수당이 마거릿 대처 전 총리 측근이 과거에 아동 성범죄를 저질렀다고 보도했다가 사실무슨으로 판명돼 BBC사장이 사퇴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으로 100년 가까운 BBC의 역사와 위상이 돌이키기 어려운 정도로 구겨졌다. 나아가 공영방송이 신뢰성과 공정성, 정치적 균형을 잃으면 어떻게 되는지도 확인됐다. 우리는 어떤가. 지난 주말 열린 KBS 수신료 관련 국민 토론회에선 "정권 따라 흔들리지 않고 국민 신뢰를 회복할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시민들의 주문이 쇄도했다.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21052439441


어릴 때는 TV에서 나오는 말이 무조건 진실인 줄 알았다.

전문적으로 보이는 사람들이 차려입고 나와서, 단호한 어조로 언급하였으니까. 어린 내가 보기엔 다 진실이구나. 아 이렇구나. 식으로

아무런 반박없이 받아들이기만 했다.

하지만, 한살 한살 세상을 더 살다보니, 보여지는? 게 진실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보는 기업대표의 잘못을 덮고자 제3자가 대신 감방에 들어가고, 언론사를 협박 또는 비리로 허위사실을 내보내기도 하고.

본인의 권력으로 본인이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는게 현실에서도 참 많이 이뤄지는 것 같다.

이번에 손정민 사건에 대해서도 많은 분들이 그렇듯 나도 수사가 어떤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지켜보고 있다.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없었더라면 여기까지 언론화되지도 못했을 것이다.

현재 나오는 기사들을 보면 증거가 있는데도, 엉뚱한 기사들이 자꾸 나오고 있는 느낌이 든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만 나오는 일들이 결코. 그 안에서만의 일이 아니다.

한 개인으로써 부디 진실이 잘 밝혀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LIST

'도치의 필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타운의 귀환  (0) 2021.05.28
동북아 '미사일 삼국지'  (0) 2021.05.27
정치판 '3040세대' 돌풍  (0) 2021.05.26
필사 5.21) 행복지수와 삶의 질  (0) 2021.05.25
필사 5.24) 벌과 인류의 운명  (0) 2021.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