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각종 상용 메일에서 안읽은 메일 필터링은 쉽게 되지만.

읽은 메일 필터링 기능이 없다.

그래서 결국 아웃룩을 사용해서 읽은 메일 만 필터링 되는 기능을 소개 한다.

또한 많은 사용자들이 주 메일 아이디가 아니면 안읽은 메일보다 읽은 메일이더 적기 때문에 충분히 필요한 기능일 것 같다.

 

홈 -> 전자 메일 필터링 -> 고급필터

자세히 -> 읽음 OR 검색창에 읽음 : 예 

 

LIST
SMALL

리눅스에서 netstat  명령어는 시스템의 네트워크 관련 다양한 상태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사용법 netstat [option] [address_family_option]

 

  • netstat -antp
    • 내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옵션 
    • -a : 모든 소켓 상태 정보
    • -n (--numeric) : 도메인 주소를 읽어들이지 않고 숫자로 출력한다. ex)ftp -->21 
    • -t (--tcp) :  TCP 소켓을 출력하라는 옵션,  TCP 소켓 중 연결된(ESTABLISHED) 소켓만 출력 됨
    • -p (--program) : PID(프로세서 ID) 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이 표시된다. (TCP 소켓을 열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유용)
[root@dochi /]# netstat -ant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445                 0.0.0.0:*                   LISTEN      2341/smbd           
tcp        0      0 0.0.0.0:139                 0.0.0.0:*                   LISTEN      2341/smbd           
tcp        0      0 0.0.0.0:56783               0.0.0.0:*                   LISTEN      1874/rpc.statd      
tcp        0      0 0.0.0.0:111                 0.0.0.0:*                   LISTEN      1852/rpcbind        
tcp        0      0 0.0.0.0:21                  0.0.0.0:*                   LISTEN      2186/vsftpd         
tcp        0      0 0.0.0.0:22                  0.0.0.0:*                   LISTEN      2150/sshd           
tcp        0      0 0.0.0.0:56695               0.0.0.0:*                   LISTEN      -                   
tcp        0      0 127.0.0.1:631               0.0.0.0:*                   LISTEN      1929/cupsd          
tcp        0      0 127.0.0.1:25                0.0.0.0:*                   LISTEN      2265/master         
tcp        0     96 10.10.10.15:22              10.10.11.12:3385            ESTABLISHED 19030/sshd          
tcp        0      0 10.10.10.15:22              10.10.11.12:46599           ESTABLISHED 18752/sshd          
tcp        0      0 :::445                      :::*                        LISTEN      2341/smbd           
tcp        0      0 :::34494                    :::*                        LISTEN      -                   
tcp        0      0 :::139                      :::*                        LISTEN      2341/smbd           
tcp        0      0 :::60013                    :::*                        LISTEN      1874/rpc.statd      
tcp        0      0 :::111                      :::*                        LISTEN      1852/rpcbind        
tcp        0      0 :::80                       :::*                        LISTEN      3910/httpd          
tcp        0      0 :::22                       :::*                        LISTEN      2150/sshd           
tcp        0      0 :::23                       :::*                        LISTEN      2161/xinetd         
tcp        0      0 ::1:631                     :::*                        LISTEN      1929/cupsd          
tcp        0      0 ::1:25                      :::*                        LISTEN      2265/master   

 

옵션 하나하나 분석!!!!

  • netstat [옵션 없음]
    • 모든 연결된(ESTABLISHED) 소켓 상태 정보
[root@dochi /]# netstat
Active Internet connections (w/o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96 10.10.10.15:ssh             10.10.11.12:qnxnetman       ESTABLISHED 
tcp        0      0 10.10.10.15:ssh             10.10.11.12:46599           ESTABLISHED 
Active UNIX domain sockets (w/o servers)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ath
unix  15     [ ]         DGRAM                    12297  /dev/log
unix  2      [ ]         DGRAM                    12800  @/org/freedesktop/hal/udev_event
unix  2      [ ]         DGRAM                    9570   @/org/kernel/udev/udevd
unix  2      [ ]         DGRAM                    449020 
unix  2      [ ]         DGRAM                    448785 
unix  2      [ ]         DGRAM                    443670 
unix  2      [ ]         DGRAM                    441635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43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42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19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18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07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06  
unix  3      [ ]         STREAM     CONNECTED     15975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5974  
unix  3      [ ]         STREAM     CONNECTED     14301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4300  
unix  2      [ ]         DGRAM                    13795  
unix  2      [ ]         DGRAM                    13729  

 

  • netstat -a
    • -a : 모든 소켓 상태 정보
[root@dochi /]# netstat -a
Active Internet connections (servers and established)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0 *:microsoft-ds              *:*                         LISTEN      
tcp        0      0 *:netbios-ssn               *:*                         LISTEN      
tcp        0      0 *:56783                     *:*                         LISTEN      
tcp        0      0 *:sunrpc                    *:*                         LISTEN      
tcp        0      0 *:ftp                       *:*                         LISTEN      
tcp        0      0 *:ssh                       *:*                         LISTEN      
tcp        0      0 *:56695                     *:*                         LISTEN      
tcp        0      0 localhost:ipp               *:*                         LISTEN      
tcp        0      0 localhost:smtp              *:*                         LISTEN      
tcp        0      0 10.10.10.15:ssh             10.10.11.12:qnxnetman       ESTABLISHED 
tcp        0      0 10.10.10.15:ssh             10.10.11.12:46599           ESTABLISHED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ath
unix  15     [ ]         DGRAM                    12297  /dev/log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3563  public/cleanup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3570  private/tlsmgr
/dbus-oXBwtEiBLb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706  /var/run/cups/cups.sock
unix  2      [ ]         DGRAM                    9570   @/org/kernel/udev/udevd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642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737  /var/run/acpid.socket
unix  2      [ ACC ]     727  /var/run/abrt/abrt.socket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12775  @/var/run/hald/dbus-XzJpd5E24X
unix  2      [ ]         DGRAM                    449020 
unix  2      [ ]         DGRAM                    448785 
unix  2      [ ]         DGRAM                    443670 
unix  2      [ ]         DGRAM                    441635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43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6042  
unix  3      [ ]   
unix  3      [ ]         STREAM     CONNECTED     14301  /var/run/dbus/system_bus_socket
unix  3      [ ]         STREAM     CONNECTED     14300  
unix  2      [ ]         DGRAM                    13795  
unix  2      [ ]         DGRAM                    13729  
unix  2      [ ]         DGRAM                    13671  

 

  • netstat -t
    • -t (--tcp) :  TCP 소켓을 출력하라는 옵션,  TCP 소켓 중 연결된(ESTABLISHED) 소켓만 출력 됨
 netstat -t
Active Internet connections (w/o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96 10.10.10.15:ssh             10.10.11.12:qnxnetman       ESTABLISHED 
tcp        0      0 10.10.10.15:ssh             10.10.11.12:46599           ESTABLISHED 
[root@dochi /]# netstat --tc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w/o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96 10.10.10.15:ssh             10.10.11.12:qnxnetman       ESTABLISHED 
tcp        0      0 10.10.10.15:ssh             10.10.11.12:46599           ESTABLISHED 

 

  • netstat -n
    • -n (--numeric) : 도메인 주소를 읽어들이지 않고 숫자로 출력한다. ex)ftp -->21 
 netstat -n
Active Internet connections (w/o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tcp        0    224 10.10.10.15:22              10.10.11.12:3385            ESTABLISHED 
tcp        0      0 10.10.10.15:22              10.10.11.12:46599           ESTABLISHED 
Active UNIX domain sockets (w/o servers)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ath
unix  15     [ ]         DGRAM                    12297  /dev/log
unix  2      [ ]         DGRAM                    12800  @/org/freedesktop/hal/udev_event
unix  2      [ ]         DGRAM                    9570   @/org/kernel/udev/udevd
unix  2      [ ]         DGRAM                    449020 

 

  • netstat -p
    • -p (--program) : PID(프로세서 ID) 와 사용중인 프로그램명이 표시된다. (TCP 소켓을 열고 있는 프로세스 확인 유용)
[root@dochi /]# netstat -p
Active Internet connections (w/o servers)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96 10.10.10.15:ssh             10.10.11.12:qnxnetman       ESTABLISHED 19030/sshd          
tcp        0      0 10.10.10.15:ssh             10.10.11.12:46599           ESTABLISHED 18752/sshd          
Active UNIX domain sockets (w/o servers)
Proto RefCnt Flags       Type       State         I-Node PID/Program name    Path
unix  15     [ ]         DGRAM                    12297  1799/rsyslogd       /dev/log
unix  2      [ ]         DGRAM                    12800  1955/hald           @/org/freedesktop/hal/udev_event
unix  2      [ ]         DGRAM                    9570   666/udevd           @/org/kernel/udev/udevd
unix  2      [ ]         DGRAM                    449020 19059/su            
unix  2      [ ]         DGRAM                    448785 19030/sshd 

 

  • netstat -rn
    • 시스템 라우팅 정보 
[root@dochi /]# netstat -rn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SS Window  irtt Iface
10.10.10.0      0.0.0.0         255.255.255.0   U         0 0          0 eth2
169.254.0.0     0.0.0.0         255.255.0.0     U         0 0          0 eth2
0.0.0.0         10.10.10.254    0.0.0.0         UG        0 0          0 eth2

 

  • netstat -s
    • 부팅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누적된 프로토콜 통계정보
[root@dochi /]# netstat -s
Ip:
    913002 total packets received
    990 with invalid addresses
    0 forwarded
    0 incoming packets discarded
    912012 incoming packets delivered
    588676 requests sent out
Icmp:
    3 ICMP messages received
    0 input ICMP message failed.
    ICMP input histogram:
        redirects: 3
    0 ICMP messages sent
    0 ICMP messages failed
    ICMP output histogram:
IcmpMsg:
        InType5: 3
Tcp:
    31 active connections openings
    110 passive connection openings
    0 failed connection attempts
    0 connection resets received
    2 connections established
    615201 segments received
    586339 segments send out
    125 segments retransmited
    0 bad segments received.
    3 resets sent
Udp:
    69856 packets received
    0 packets to unknown port received.
    30 packet receive errors
    2212 packets sent
UdpLite:
TcpExt:
    121 TCP sockets finished time wait in fast timer
    31 delayed acks sent
    4 packets directly queued to recvmsg prequeue.
    16 packets directly received from prequeue
    610545 packets header predicted
    4 packets header predicted and directly queued to user
    1537 acknowledgments not containing data received
    548231 predicted acknowledgments
    3 congestion windows recovered after partial ack
    0 TCP data loss events
    20 other TCP timeouts
    1 DSACKs received
    15 connections aborted due to timeout
    TCPSackShiftFallback: 1
IpExt:
    InMcastPkts: 2
    InBcastPkts: 293527
    OutBcastPkts: 1753
    InOctets: 447084395
    OutOctets: 105192423
    InMcastOctets: 72
    InBcastOctets: 154944511
    OutBcastOctets: 223525
LIST
SMALL

안녕하세요. salzzak 입니다~

 

저번엔 이미지로 캡쳐를 했는데, 이번에는 pdf로 캡쳐를 해보겠습니다.

사실 https://github.com/GoogleChrome/puppeteer 에 다 있는 내용인데... 공부도 할겸.. 이렇게 포스팅을 해봅니다!

 

const puppeteer = require('puppeteer');

(async () => {
  const browser = await puppeteer.launch();
  const page = await browser.newPage();
  await page.goto('http://www.salzzakart.com/portfolio', {waitUntil: 'networkidle2'});
  await page.pdf({path: 'salzzak.pdf', format: 'A4'});

  await browser.close();
})();

 

저는 제 개인 홈페이지 ~ 를 pdf 로 만들어보는 소스코드 입니다.

 

hn.js 로 파일 저장 후... 실행을 시켜보면

 

살짝 시간이 걸리지만, 소스코드 파일 경로에 salzzak.pdf 가 생긴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생긴대로 나오지는 않았는데, 어쨋든 추출은 되고 있네요!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alzzak_art/ 
스팀잇 : https://steemit.com/@salzzakart

LIST
SMALL

솔라리스 11 버전 에서 ntp 설정을 하여 시간 동기화를 진행 하려고 한다.

 

먼저 솔라리스 버전을 확인

[root ~]# uname -a
SunOS dbms1 5.11 11.3 i86pc i386 i86pc

ntp 설정이 안되어 있는것을 확인

ps -ef |grep ntp
root 16369 16364   0 15:11:56 pts/2       0:00 grep ntp

cd /etc/inet를 확인하여 보면 ntp.conf 파일이 없을 것을 알수있다.

[root ~]# cd /etc/inet
[root ~]# ls
datemsk.ndpd                ipaddrsel.conf              networks                    services
dhcpd.conf.example          ipnodes                     ntp.client                  slp.conf.example
hosts                       ipsecalgs                   ntp.server                  static_routes-DefaultFixed
ike                         ipsecinit.sample            protocols                   wanboot.conf.sample
inetd.conf                  netmasks                    secret

그렇기 때문에

ntp.client 파일을 카피 하여 ntp.conf 파일을 생성 한다.

-bash-4.1# cp ntp.client ntp.conf
-bash-4.1# ls
datemsk.ndpd                ipaddrsel.conf              networks                    secret
dhcpd.conf.example          ipnodes                     ntp.client                  services
hosts                       ipsecalgs                   ntp.conf                    slp.conf.example
ike                         ipsecinit.sample            ntp.server                  static_routes-DefaultFixed
inetd.conf                  netmasks                    protocols                   wanboot.conf.sample

ntp.conf 파일 끝에 추가 하여


server [NTP 서버 IP] 를 입력( 저는 내부 ntp 서버 10.10.10.10 을 입력)

 

참고!!

국내 NTP 제공 사이트

zero.bora.net

ntp.ewha.net

ntp1.epidc.co.kr

ntp2.epidc.co.kr

kr.pool.ntp.org

kr.pool.ntp.org

# To configure leap seconds processing, download the latest NIST leap seconds
# file to /etc/inet, and then create a symbolic link to it from the ntp.leap
# file. Without this file, NTP will still be able to accept leap announcements
# from its upstream sources. If this file exists and is less than 6 months old
# then the contents of this file will take precedence over the upstream servers.
# The latest leap seconds file is always available at ftp://time.nist.gov/pub

#leapfile /etc/inet/ntp.leap

server 10.10.10.10

데몬 재시작

#svcadm restart svc:/network/ntp:default

데몬 중지

#svcadm disable -st svc:/network/ntp:default

 데몬 사용

#svcadm enable -st svc:/network/ntp:default

ntp 서비스 실행중인것 확인 

-bash-4.1# ps -ef | grep ntp
    root 16915     1   0 15:40:46 ?           0:00 /usr/lib/inet/ntpd -p /var/run/ntp.pid -g
    root 16918 16501   0 15:33:44 pts/2       0:00 grep ntp

ntpq -p 명령으로 실제 연동상태 확인

-bash-4.1# ntpq -p
     remote           refid      st t when poll reach   delay   offset  jitter
==============================================================================
*dns.hello.re.kr  203.248.240.140  3 u   19   64    1    0.227   -5.248   0.001

 

LIST
SMALL

안녕하세요 salzzak 입니다.

저는 파이썬으로 자동화하는 것이 목적이어서... 이번에는 selenium을 설치해보겠습니다.

 

pip install selenium

cmd에 위 코드로~ selenium을 설치해봅니다.

Successfully 떴으니 설치 되었겠지만 아래 코드로 재확인 해봅니다.

 

pip freeze

 

설치 되어있네요~~

 

simpleAuto 라는 폴더 생성 후, 그 안에 simpleAuto.py 폴더를 만들어줍니다.

 

그 다음에... 필요한 것이 http://chromedriver.chromium.org/downloads 크롬 드라이버를 받아줍니다.!

 

크롬드라이버 Win 최신버전을 받아서~! 취향에 맞는곳에 압축을 풀어둡시다.

저같은 경우는 소스코드와 동일한 곳에 위치시켜두겠습니다.

 

 

네이버 창이 열리는 간단한 자동화 소스 코드 작성을 해봤습니다.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import time

driver = webdriver.Chrome("chromedriver.exe")
driver.get("http://www.naver.com")

time.sleep(5)

driver.close()

 

이렇게 소스코드를 작성 후... cmd 에서 해당 소스파일 경로로 이동 후 아래 커맨드 라인을 입력해줍니다.

python simpleAuto.py

 

소스코드에 작성한 대로 네이버 창이 열렸다가 5초 뒤에 닫힙니다.

성공!

 

저번 블로그 https://keefojifo.tistory.com/32?category=798164

에서 작성한 것 같이 exe 파일까지 만들어보겠습니당

 

pyinstaller -F simpleAuto.py

cmd에 입력 시 마찬가지로 여차저차해서 dist 폴더 안에 simpleAuto.exe 파일이 생깁니다.

 

저번처럼 바로 exe 파일을 여니, chromedriver 경로가 달라서 실행이 안되더라구요.

그래서 chromedriver를 dist 폴더 내에 이동 후 실행하니, 아까와 같이 정상 구동 되었습니다.

 

 

어쨋든 성공!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alzzak_art/
스팀잇 : https://steemit.com/@salzzakart

LIST
SMALL

어느날 값자기 

CentOS 에서 백스페이이스를 누를때 마다 ^? 가 입력됨 

[root@test ~]#^?^?^?^?^?

임시적,일시적 조치방법

 stty erase ^? 입력 시 해결

[root@test ~]#stty erase ^?

영구적인 방법1 

 /etc/profile 에 stty erase ^? 를 등록  (모든 사용자에게 환경설정 값을 적용하는 /etc/profile)

[root@test ~]# ls -al /etc/profile

[root@test ~]# echo "stty erase ^?" >> /etc/profile 

설정 후 재부팅

영구적인 방법2 

 $HOME/.profile 에 stty erase ^? 를 등록  (특정 사용자에게 환경설정 값을 적용하는 $HOME/.profile)

[root@test ~]# echo "stty erase ^?" >>  $HOME/.profile
[root@test ~]# source.bash_profile

.bash_profile 이나 .bashrc 같은 파일의 설정을 변경했을 경우 재접속하거나 리부팅 할 필요없이 source 명령어를 사용해서 바로 설정을 적용시킬 수 있음

 

stty (터미널 환경 설정)

문법) stty [설정 명령] [설정할 키도브 key]

설명) 터미널 라인 설정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예제)stty erase ^?

 

옵션) 설정 명령

설정 명령 default 설정키 의미
 erase  ^?  입력된 한 문자 삭제 ( ^?는 DELETE key / ^H를 주로 설정 backspace key )
 kill  ^u  입력된 행을 모두 삭제
 intr  ^c  진행중인 프로세스를 종료
 quit  ^\  core dump와 함께 현재의 프로세스 중단
 eof  ^d  파일의 끝을 알림 (입력 종료)
 eol  ^d  행의 끝
 eol2  ^d  한 행을 마치기위한 별도의 문자
 swtch (np)  ^d  다른 쉘 계층으로 스위칭
 start  ^q  화면으로의 출력을 시작
 stop  ^s  화면으로의 출력을 중지
 susp  ^z  현재의 프로세스를 suspend (일시 중지)
 dsusp (np)  ^y  입력을 flush 한 후 프로세스를 suspend
 rprnt (np)  ^r  화면을 다시 갱신
 flush  ^o  stty 입력 및 출력을 즉시 버림
 werase (np)  ^w  입력한 한 단어를 삭제
 inext (np)  ^v  특수문자라 할지라도 다음 문자는 글자 그대로 입력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클릭을 부탁드립니다 :) 

Buy me a coffeeBuy me a coffee
LIST
SMALL

안녕하세요 저번에는 지금까지 등록한 글 정보들을 쭉 뽑아봤는데요

이번에는 그 정보들을 보기 좋게 정리해보겠습니다!

 

curator_payout_value / pending_payout_value / total_payout_value

 

"숫자 SBD" 의 형태

 

위 3가지 payout_value 들은 "숫자 SBD" 형태로 추출이 되는데요.

이는 String 값이므로 뒤 "SBD" 를 떼어내고 "숫자" 부분을 숫자형 데이터로 바꿔주겠습니다.

 

function steemSplit(string) {
    splitString = string.split(" ");
    // split 함수는 함수 내 인자값를 기준으로 String 값을 나눠줍니다.
    // ex) 2.1234 SBD -> splitString[0] = 2.1234 / splitString[1] = SBD

    tt = splitString[0];
    tt = parseFloat(tt);
    // tt 를 Float 형식 데이터로 바꿔줍니다.

	return tt;
}

 

이제 steemSplit 함수안에 payout_value 값들을 넣어주면 순수한 float 값을 돌려받을수 있습니다!

 

지난 글에서 설명 드렸다시피,

 

1) pending_payout_value : 저자와 큐레이터가 보상 "받을" 금액 

"받을" 금액이기 때문이기 때문에 일주일 지난 글에는 모두 0.000 SBD 값을 띈다.

 

제 모든 글에 있는 pending_payout_value 값을 더하면

일주일이 지나지 않은 글에 대해서 보상 받을 금액 

 beforeWeek 이라고 변수를 설정해봤습니다.

 

2) total_payout_value : 저자가 보상 "받은" 금액 

"받은" 금액이기 때문이기 때문에 일주일 지나지 않은 글에는 모두 0.000 SBD로 노출됩니다.

 

제 모든 글에 있는 total_payout_value 값을 더하면

저자가 일주일이 지난 글에 대해서 보상 받은 금액 

 afterWeek 이라고 변수를 설정해봤습니다.

 

3) curator_payout_value : 해당 글에 보팅을 해준 사람이 "받은" 금액입니다. 

"받은" 금액이기 때문이기 때문에 일주일 지나지 않은 글에는 모두 0.000 SBD로 노출됩니다.

 

제 모든 글에 있는 curator_payout_value 값을 더하면

보팅해주신 분들이 일주일이 지난 글에 대해서 보상 받은 금액의 총합 

 curator 라고 변수를 설정해봤습니다.

 

for (var i = 0; i < result.length - 1; i++) {

                    if(result[i].author == query.tag){
                    document.write("<b>Title : " + result[i].title + "<br> </b>");

                    beforeWeek = beforeWeek + steemSplit(result[i].pending_payout_value);
                    afterWeek = afterWeek + steemSplit(result[i].total_payout_value);
                    curator = curator + steemSplit(result[i].curator_payout_value);

                    }

                }

 

각 변수를 0으로 설정 후, 전체를 돌면서 글 제목 출력함과 동시에 각 변수값을 점차 더해가도록 했습니다.

 

 

var account = prompt("확인하고 싶으신 계정을 입력해주세요!");
        query.tag = account;

        allBlog();

        document.write("<b>beforeWeek : " + beforeWeek + "<br> </b>");
        document.write("<b>afterWeek : " + afterWeek + "<br> </b>");
        document.write("<b>curator : " + curator + "<br> </b>");

재귀함수인 allBlog 함수를 다 돌고 난후 값이 저장되어있는 각 변수 값들을 노출시켜봅니다.

 

 

전체 글이 노출된 후에 payout_value 가 모두 더해진 결과값이 노출되네요~! :)

 

 

지금 만든 페이지는 http://www.salzzakart.com/steem/test_2.html 에서 확인 가능하십니다!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salzzak_art/

스팀잇 : https://steemit.com/@salzzakart

 

 

LIST
SMALL
 

실행 (윈도우 + R) ----> eventvwr.msc (이벤트 뷰어) 를 입력

이벤트 뷰어(로컬) -->  Windows 로그 --> 보안

 

로그인 이벤트 ID 4624
로그오프 이벤트 ID 4634

필터를 사용하여 작업범주에 이벤트 ID를 넣고 검색하면 정리 되서 나온다.

but
 
디폴트로 최대 로그 크기가 20480KB 로 되어있어 오래전 로그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럼 백업된 로그 파일을 찾아야되는데. 

그 경로또한 위에 있다
내컴퓨터 --> C 드라이브 --> System32 --> Winevt --> Logs -->Archive-Security 를 더블 클릭하면 오래전의 로그인 정보도 확인 할 수 있다.

 

LIST

+ Recent posts